지난 주말에 오랜만에 경복궁에 다녀왔습니다. 날씨가 좋아지면 고궁에 많이 다녀보고 싶었는데, 드디어 다녀왔네요. 하지만, 늘 그렇듯이 미리 계획하고 알아보고 가지 않아서;; 가면서 지하철에서 경복궁 입장료, 개장시간, 유모차 대여방법 등에 대해서 검색해봤는데 생각보다 깔끔하게 정리된 자료가 없더군요.
그래서, 지난 주말에 다녀온 사람으로서 경복궁에 가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 경복궁 입장료, 개장시간, 유모차 대여방법 등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요즘 경복궁 야간개장 가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경복궁 입장료
<경복궁 근정전 위로 보이는 가을하늘>
우선, 경복궁 입장료는 대인기준 3,000원입니다. (여기서 대인이란 만25세부터 만64세까지를 의미하네요) 대인이 아닌 만24세이하 청소년과 만65세 이상 어르신은 무료이고,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특별한 경우에 무료로 입장할 수 있네요. 특이한건 한복을 입은 분들도 무료입니다. 지난 주말이 추석연휴기간이라 그런지 한복을 입고 온 분들이 생각보다 많더군요(주로 아이들과 청소년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근데 한가지 이상한건 '대인'의 기준이 내국인과 외국인이 다르더군요. 외국인의 경우 '대인'은 만19세~만64세이고, '소인'이라고 해서 만7세~만18세의 경우 1,500원의 요금을 받네요. 음.. 굳이 이렇게 내국인과 다르게 적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의 고궁에 와서 한국의 전통와 역사를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허들을 낮춰줘야 할텐데 말이죠.
예전에 중국에서 기차를 타는데, 외국인이라고 해서 할인을 해주지 않는 것을 보고 많이 아쉬웠는데, 혹시 경복궁을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그렇게 생각하는건 아닐까 걱정되네요.
경복궁 개장시간
경복궁 관람시간은 알아보겠습니다. 개장시간은 항상 오전 9시로 동일하고, 폐장시간은 월별로 다르네요.(1,2월 17시, 3~5월 18시, 6~8월 18시30분, 9~10월 18시, 11~12월 17시)이렇게 운영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어두워지면 관람하기 어려우니 낮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운영하는거겠죠?
음.. 그래도 조금 통일된 시간에 운영하면 매번 이렇게 개장시간을 찾아보지 않아도 될텐데요. 예를 들어 하절기엔 18시, 동절기엔 17시까지 운영한다거나.. 암튼 조금 아쉽긴 하네요.참, 매주 화요일은 경복궁이 문을 열지 않는다고 합니다. (근데 전 추석연휴 마지막날 다녀왔는데 그날이 화요일이었는데;; 특별한 날에는 문을 여나봅니다;)
그리고, 경복궁 야간개장 시간은 오후 10시까지이고, 입장은 오후9시까지라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복궁 유모차 대여방법
이번에 경복궁에 가서 제일 당황했던건 유모차를 대여했을 때였답니다. 아이가 너무 졸려해서 유모차를 급하게 대여하려고 했는데, 경복궁 유모차는 12개월 이하 아이만 대여가능하다고 하네요;; 아, 경복궁 유모차 대여하는 곳은 표를 끊고 들어가자마자 왼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같은 경우에는 경복궁 내에 있는 민속박물관에 가서 유모차를 빌렸답니다. 민속박물관 내에서만 쓸 수 있긴 하지만, 개월 수 제한이 없는 유모차라 세 살이나 네 살 아이들도 많이 빌리더군요. 혹시 아이가 너무 피곤해하거나 졸려하면 경복궁 민속박물관에 가서 유모차를 빌려서 잠시 쉬다가 다시 경복궁을 구경하실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