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증명서 발급이 필요해서 찾아보니 인터넷에서도 바로 발급이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급하게 필요했던 터라 인터넷에서 병역증명서 발급을 해서 출력했습니다. 그런데 병역증명서의 정식 명칭이 병적증명서군요.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
군대 다녀온 사람들은 아무래도 병역증명서의 의미가 남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누구나 그렇듯이 군대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면 힘들고 어려웠던 기억들이 많았기 때문이죠.
사람마다 기간은 다르지만 지금 생각하면 어린 학생같은 20대 초반 시절 2년 정도 되는 시간을 사회와 격리되어서 계급사회에 던져져서 생활한다는게 정말 쉬운 일은 아닙니다. 특히 군대에 다녀오지 않은 분이라면 상상도 할 수 없는(진짜사나이에서 보이는 것과는 180도 다른) 힘든 일들이 정말 많습니다.
병역증명서 발급 포스팅을 하려고 하다보니 갑자기 옛날 군대 추억이 막 떠오르네요. 지금은 좋은 기억으로만 남았지만, 그땐 정말 힘든 일이 많았죠 (지금도 군대 동기, 선후임들과 만나면서 옛날 얘기를 하곤 합니다)
▲ 군대 추억 얘기는 이제 그만하고 ^^; 병역증명서 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 먼저 병무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봤는데, 병무청 홈페이지(병무민원포털)에서 신청하는 건 등기우편으로 발송되는 거라서 3, 4일 걸린다고 나와있습니다. 혹시 프린트가 안되는데 그렇게 급하게 필요한게 아니라면 병무민원포털에서도 신청가능합니다.
민원24 정부민원포털에서는 병역증명서 발급이 인터넷 발급으로 가능합니다. 민원24 홈페이지에서 [병적증명서 발급] 메뉴를 클릭하면 됩니다. 민원24에서는 병적증명서 발급 뿐 아니라, 주민등록표등본/초본 발급, 전입신고, 출입국 사실증명, 지방세 납세증명, 개별공시지가 확인, 건축물대장 등초본발급, 토지대장 열람 등등 많은 업무를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 병역증명서 발급 신청 메뉴에서는 (병적증명서가 맞는 말인가 보네요) 성명(로그인하면 자동입력), 생년월일(로그인하면 자동입력), 연락처, 주소, 이메일(필수 아님), 용도, 수령방법, 발급부수 등을 선택하고 입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차례로 입력하고 아래에 있는 [민원신청하기] 메뉴를 클릭하면 됩니다.
위 화면에서 * 표시 된것만 필수 입력 사항이고 *(별표)가 표시되지 않은 항목은 필수 입력이 아니므로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 신청을 하면 이렇게 뽀로로가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화면이 잠시 나옵니다. (진행이 완료되면 이 화면은 자동으로 없어집니다)
▲ 자, 병역증명서 발급이 완료됐습니다. 화면에 민원접수번호, 민원사무명, 처리상태, 교부기관, 연락처 등이 나오는데,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되어 있으면 처리가 완료된 것 입니다.
[문서출력] 버튼을 눌러서 병역증명서 출력까지 하면 끝입니다.
저도 인터넷에서 병역증명서 발급이 가능한지 모르고 급한 김에 찾아봤는데, 인터넷으로 처리 가능하니 참 편리하고 좋네요.
그리고 병역증명서 발급하다 보니 예전에 군대에서 생활하던 기억도 나고 그러네요. 그때는 정말 군생활이 끝날것 같지 않았는데, 어느새 군생활이 끝나서 제대도 하고, 제대한지 벌써 꽤 오랜 시간이 지났네요.
군대에서 제대하면서 이제는 내 의지대로 모든 걸 할 수 있어서 너무 좋고 의욕이 넘쳤던 생각이 나네요. 그때처럼 의욕적으로 모든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