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그림압축은 엑셀 파일 용량 줄이기의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엑셀은 기본적으로 셀과 시트로 이루어진 파일이고, 이 셀에는 숫자 또는 문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용량이 그렇게 커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입력한 데이터가 늘어나고, 수식이 많아질수록 엑셀 파일 용량이 점점 늘어나게 되죠. 거기에 그림파일 같이 용량이 큰 내용이 삽입된다면 엑셀 파일 용량이 훨씬 더 늘어나게 됩니다.
이럴 때 엑셀 그림압축 기능을 이용하면 엑셀 파일 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이 기능은 아주 유용한 기능인데 의외로 많이들 모르고 계시기 때문에 꼭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엑셀 그림압축을 하기 위해서 [파일] 메뉴에 있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 메뉴를 선택합니다. (엑셀 파일에 있는 그림들을 압축해서 저장하는 이 기능은 기본적으로 파일을 저장할 때 옵션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름이름으로 저장] 메뉴 창이 열렸다면, 맨 아래에 있는 [도구]를 클릭합니다
▲ [도구]를 클릭하면 바로 오른쪽에 메뉴들이 보이게 됩니다. 여기에서 맨 아래에 있는 [그림압축] 메뉴를 클릭합니다. (근데 그림압축 기능이 꽤 유용한게 쓰이는 기능인데 반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택하는 메뉴 뎁스가 너무 깊어서 불편하긴 합니다;;)
▲ 자, 이제 그림압축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이 나왔습니다. 이 화면은 크게 두가지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번째가 바로 [압축옵션]입니다. 압축옵션은 그림을 선택해서 압축하거나 잘려진 그림 영역을 삭제하고 압축 저장하는 걸 선택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대상출력]입니다. 엑셀 파일의 그림들을 해상도에 따라 압축률을 조절해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위쪽에 있는 옵션일수록 ppi 높기 때문에 그림 화질이 좋고 용량이 커집니다. (ppi는 pixel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픽셀을 나타냅니다)
만약에 그림을 압축해서 엑셀 파일 용량을 줄이고 싶다면 아래쪽에 있는 옵션을 선택해야겠죠. 경우에 따라서 다르긴 하지만, 보통 엑셀 파일에서는 그림파일은 주용도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값을 보조해주는 역할로 쓰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림해상도가 크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 한가지 더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엑셀 그림압축을 매번 설정하는게 귀찮고 아예 기본 설정으로 해놓고 싶다면 엑셀 [파일] 메뉴의 [옵션] 메뉴를 선택해서 엑셀 옵션에 들어간 다음에 [고급] 메뉴에서 [이미지 크기 및 품질]을 설정해 놓으면 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혹시 중요한 그림파일이라 선명하게 보여야 할 때 나도 모르게 낮은 품질의 그림파일이 보여지게 될 수 있어서 되도록 첫번째 방법대로 파일별로 그림압축을 설정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오늘은 엑셀 그림압축으로 파일 용량 줄이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