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 행 고정 열 고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에서 표를 만들었는데 표의 내용이 많을 경우, 아래 내용을 보다보면 첫 행이나 첫 열이 보이지 않아서 이게 대체 어떤 항목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엑셀 행 고정 엑셀 열 고정을 사용하면 아무리 긴 표라도 항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제 포스팅에는 엑셀 고급(?) 함수나 엑셀 전문가를 위한 팁은 없습니다. 엑셀을 처음 하시는 분이나 자주 사용하지 않아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 분들을 위한 포스팅이 주로 담겨져 있답니다.

 

▲ 엑셀 행 고정을 먼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면 주황색 부분인 첫 행을 고정시켜서 아래 내용을 볼 때도 계속 첫 행이 보이도록 엑셀 행 고정을 해야 합니다.

 

▲ 엑셀 메뉴 중에 상단의 [보기] 메뉴의 [틀 고정]을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두번째 항목인 [첫 행 고정]을 클릭합니다. (틀 고정과 첫 열 고정은 아래에서 따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자, 바로 엑셀 행 고정이 실행됐습니다. 첫 행인 1행이 고정되어서 아래 내용을 봐도 첫 행이 계속 보이게 되네요. 1행 바로 아래가 5행인거 보이시죠?

 

▲ 같은 방법으로 엑셀 열 고정도 할 수 있답니다. [보기] 메뉴의 [틀 고정] 메뉴의 세번째 메뉴인 [첫 열 고정]을 클릭하면 첫 열, 즉 A열이 고정되어 뒷쪽 열을 볼때도 첫 열은 계속 보이게 됩니다.

 

그럼, 엑셀 행 고정과 엑셀 열 고정을 동시에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건 [보기] - [틀 고정] - [틀 고정]을 클릭하면 됩니다. 대신에 이때는 고정할 행과 열을 지정해 줘야 하기 때문에 고정하고 싶은 위치(셀)를 선택한 뒤에 [틀 고정]을 클릭해야 합니다.

 

엑셀 표 작업에서 꼭 적용해야 하는 중요한 기능인 엑셀 행 고정 엑셀 열 고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