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엑셀 숫자 세기 방법은 count 함수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개수를 세는 함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count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서는 초보자분들을 위한 쉬운 엑셀을 지향하기 때문에 함수설명이라고 해도 어렵거나 복잡한 설명이 아니라 가장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그리고, 저는 엑셀2010을 사용해서 캡쳐하고 설명드리지만, 아래 내용은 엑셀 2003, 2007, 2013 모두 호환되는 방식이라는거 기억해주세요^^

 

▲ 엑셀 숫자 세기를 직접 해보기 위해서 위의 표를 작성했습니다. 문자 셀과 숫자 셀이 있는 표입니다. 이 표에서 숫자 셀의 개수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A7 셀에 count 함수를 입력합니다. 아주 간단하게 =count(범위) 이렇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입력하면 범위 내에 있는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해줍니다.

 

▲ 10이라는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엑셀이라는 프로그램이 결국 숫자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이니까, 숫자 셀의 개수가 몇개인지 아는게 중요할 때가 종종 있답니다. 더욱이 엑셀 count 함수와 다른 함수를 조합해서 계산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니, 꼭 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