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이야기/├ 엑셀

엑셀 행높이 열너비 단위를 cm(센치)로 바꿔보기

stst 2016. 3. 18. 00:00

엑셀 행높이 단위와 열높이 단위는 기본적으로 포인트와 픽셀로 표시됩니다. 포인트나 픽셀이라는 단위가 사실 잘 와닿는 단위는 아니라서 헷갈리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그래서 엑셀을 사용하면서 엑셀 열너비 단위나 행높이 단위를 포인트나 픽셀이 아닌 센치미터(cm)나 밀리미터(mm)로 변경해서 볼 수 있다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저는 아주 정밀하게 열너비나 행높이를 맞춰야 할때, 특히 프린트 때문에 크기를 정확히 맞춰야 할 때 센치미터나 밀리미터로 바꿔서 보곤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기능이 필요할 때는 보통 바인더나 철에 제목을 출력해서 붙일 때 꼭 필요하다고 많이들 말씀하시더군요 ^^

 

엑셀의 데이터 입력이나 함수, 계산과는 큰 상관은 없지만, 그래도 편리한 엑셀 활용을 위해서 오늘은 엑셀 행높이 열너비 단위를 cm(센치미터) 또는 mm(밀리미터)로 바꿔보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엑셀 열너비 단위와 행높이 단위를 기본 설정인 상태에서 확인해봤습니다. 왼쪽 그림을 보면 열너비가 8.38 포인트, 72 픽셀로 나오고, 오른쪽 그림을 보면 행높이가 16.50, 22픽셀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8.38포인트가 대충 어느정도 넓이인지, 16.50포인트가 어느정도 넓이인지 가늠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포인트나 픽셀로 표시하는게 아니라 센치미터나 밀리미터로 표시하는 기능이 꼭 필요합니다.

 

 

▲ 엑셀 행높이 열너비 단위를 바꿔보는건 사실 아주 간단합니다. 바꿔보기를 원하는 시트에서 엑셀 상단 메뉴에 있는 [보기] 메뉴를 클릭하고 [페이지 레이아웃]을 클릭합니다.

 

▲ 그러면 위 화면처럼 열너비가 1.93센티미터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페이지 레이아웃으로 화면을 보면 기존에 보던 화면과는 조금 다른 모양이라 엑셀 사용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엑셀 데이터를 입력하는 대부분의 시간에는 기본 화면으로 설정해 놓고, 때때로 엑셀 열너비 행높이 단위를 센치미터(cm)로 보고 싶을 때만 화면을 페이지 레이아웃 형태로 변경해서 봅니다.

 

이 기능은 엑셀 사용에 익숙치 않은 초보자 분들이 훨씬 더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엑셀을 어느정도 사용하다보면 포인트나 픽셀에 대한 감이 오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열너비나 행높이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엑셀을 오래 사용한 사람들도 정밀한 계산은 이 방법으로 하는게 편하답니다 ^^)

 

오늘은 엑셀 행높이 열너비 단위를 cm(센치미터)로 바꿔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